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좀약, 간에 해롭다? 피부과 전문가의 조언

by 맹물박사 2024. 5. 25.
반응형

고온다습한 여름철이 되면 곰팡이의 활동이 활발해져 무좀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아집니다. 특히 무좀은 전염성이 강해 쉽게 주변 사람들에게 옮길 수 있는데요, 무좀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피부과학회의 연구결과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좀, 어떻게 발생하나요? 

무좀은 피부사상균(백선균)이 피부의 겉 부분인 각질층이나 머리털, 사타구니, 손톱, 발톱 등에 침입해 기생하면서 발생합니다. 백선균은 특히 발을 좋아하는데요, 신발 속에서 축축하게 땀이 차면 무좀균이 좋아하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꼭 끼는 신발을 신고 일하는 사람이나 땀이 많이 나는 사람들에게서 무좀이 많이 발생합니다. 

 

무좀 예방의 핵심 

통풍과 청결 유지: 발을 깨끗이 씻고 잘 말려주세요. 

천연섬유 양말 착용: 땀을 잘 흡수하는 천연섬유 양말을 신으세요. 

여분의 양말 준비: 발 냄새가 심하고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여분의 양말을 준비해 바꿔 신으세요. 

신발 교체: 같은 신발을 계속 신지 말고 번갈아 신으세요. 

무좀이 생기면 항진균제를 사용하고, 필요시 항생제 요법을 추가합니다. 

 

무좀에 대한 잘못된 인식 

대한피부과학회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무좀에 대한 몇 가지 오해가 있었습니다. 

청결하게 관리만 해도 나을 수 있다? (38%) 

여성보다 남성이 더 걸리기 쉽다? (36%) 

여름에만 발생한다? (35%) 

 

무좀은 청결한 발 관리가 중요하지만, 적절한 치료 없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또한, 남성이 무좀에 더 취약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으며, 남성 무좀 환자가 더 많다는 것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무좀은 여름에 증상이 악화될 뿐 겨울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좀약, 정말 간에 해로울까? 

무좀약에 대한 부작용에 대한 인식도 오해가 많습니다. 

발진·가려움 등 피부 부작용 (60.4%) 

간이 나빠진다 (48.5%) 

속이 메스꺼워진다 (31.8%) 

면역력이 떨어진다 (18.3%) 

피부과학회에 따르면, 무좀약의 부작용은 부풀려진 측면이 큽니다. 바르는 항진균제의 경우 부작용은 약 6% 정도로 대부분 가벼운 피부 반응에 그칩니다. 먹는 항진균제는 테르비나핀과 이트라코나졸이 있으며, 이 약제들은 소화기계 장애나 피부 증상이 있을 수 있지만, 심각한 부작용은 드뭅니다. 간 수치가 상승하는 경우도 1.9~3% 정도로 낮습니다. 

따라서 무좀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 후 환자의 상태에 맞는 안전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좀 치료, 중단하면 안 되는 이유 

무좀 치료를 중단하는 이유로는 증상이 호전되어 더 이상 치료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거나, 치료 기간이 오래 걸려서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무좀 치료는 진균의 종류, 감염 부위 등에 따라 다르며, 발 무좀의 경우 바르는 항진균제로 한 달 정도가 필요합니다. 증상이 좋아져도 2~3주간 치료를 지속하고, 전문의의 판단에 따라 치료를 종료해야 합니다. 

무좀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무좀약에 대한 과도한 걱정보다는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무좀 치료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